[상식][과학] 기억은 영구히 저장되지만 접근할 수 없을 뿐
기억이 생각나지 않는이유 / 망각 이유 / 왜 기억하지 못하나
기억은 영구히 저장되지만 접근할 수 없을 뿐
me: 개인적으로 장기기억이 아닌 단기기억 까지 저장되는 것을 이야기 하는 건가?
- <네이처 리뷰 뉴로사이언스 Nature Reviews Neuroscience>에 게재
-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대학과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신경과학자로 구성된 연구진
- 무언가를 ‘잊는 것’은 뇌가 더 중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능동적인 형태의 학습이라는 연구 결과
- 우리가 ‘잊어버린’ 기억은 실제로 사라진 것이 아니라 접근할 수 없게 된 것뿐이라는 것
- 기억은 뉴런의 집합에 영구적으로 저장되며
- 우리 뇌는 어떤 기억에 접근을 유지할지, 어떤 기억을 잠가버릴지(locked away) 결정한다고 설명
- 연구진에 따르면 이러한 선택은 환경적 피드백을 토대로 하며
- 이론적으로 우리가 변화에 직면할 때 융통성을 발휘하고
- 결과적으로 더 나은 결정을 내리도록 해준다.
기억을 못해내는 이유
- 트리니티대학의 신경과학자 토마스 라이언 박사는 “기억은 ‘엔그램 세포(engram cells)’라는 뉴런의 앙상블(ensembles)에 저장되며, 기억을 성공적으로 상기하려면 이러한 앙상블의 재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그러면서 “이를 논리적으로 확장하면 엔그램 세포가 재활성화 될 수 없을 때 망각이 일어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기억 자체는 여전히 거기에 있지만, 특정한 앙상블이 활성화 될 수 없다면 기억을 해낼 수 없다는 것이다.
- 이는 마치 기억이 금고에 저장되어 있지만 금고를 여는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고 라이언 박사는 말했다.
망각이 일어나는 이유
- 연구진은 엔그램 세포가 접근 가능한 상태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때, 즉 기억을 잠가버릴 때 망각이 일어난다고 말했다.
- “망각의 속도는 환경적 조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우리는 망각이 실제로 환경 및 예측 가능한 정도에 따라 기억 접근성을 변경하는 학습의 한 형태라고 제안한다”고 라이언 박사는 말했다.
- 토론토대학 신경과학자 폴 프랭클랜드 박사도 이에 동의하며 “뇌가 잊어버리는 데에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것 모두 엔그램(기억의 물리적 구현)이 접근하기 더 어렵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고 덧붙였다.
- 이번 연구 결과가 정확하다면, 이는 알츠하이머병 등 질병과 관련된 기억 상실 증상을 이해하고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Reference
- ’망각’의 역설, 잊어야 잘 기억한다 (연구) - 코메디닷컴, 2022-02-10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