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강점탄
강점탄이란? / hard coking coal
강점탄
석탄중 일부는 일정온도 이상에서 코크스로 굳어진다.
이 ‘점결성’이 있는 석탄중에 높은 점성을 갖는다면 ’강점탄’ 이고, 점결성이 작아서 스스로 코크스가 안되는 수준이라면 ‘미점탄’ 이라 한다.
석탄 사용방법에 따른 분류
- 발전용 탄
- 석탄을 직접 태워 열을 냄으로써 고압 스팀을 만들고 발전기를 돌리는 데 사용.
- 모든 석탄은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발전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코크스(coke) 제조용 탄
- 코크스 제조용 석탄은 간접 가열하면 매우 뻑뻑한 액체 상태로 변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 같은 상변이 현상을 이용해 ‘분’ 상태의 석탄을 ’덩어리 모양’의 코크스로 만든다.
- 모든 석탄에 이러한 성질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 석탄만이 뻑뻑한 액체로 변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역청 같은 액체 상태를 갖는다 해서 역청탄(bituminous coal)이라 부른다. 이 석탄은 땅속 깊숙이 매장돼 있으며,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에 가격이 높게 형성된다.
점성에 따라
- 미점탄
- 강점탄
점결성: 석탄이 가열되어 열분해 될 때 휘발분이 나오고 나서 450℃ 정도에서 코크스상으로 굳어지는 현상.
점결성이 강한 석탄은 연소중 화격자 위에서 점결한다. 그래서 통풍을 해치게 된다. 그래서 보일러용 석탄으로는 부적합하다.
그러나 강도 높은 코크스를 제조할 수 있어 제철용으로 사용함.
코크스의 제조에 강점탄이 대량으로 사용
- 원료탄 : 원료로 사용하는 석탄, 통상적으로 코크스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석탄
- 점결성의 정도에 따라 ’강점탄’과 ’미점탄’으로 분류
- 고강도의 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 점결성이 우수한 강점탄을 사용하거나,
- 미점탄
- 스스로 코크스가 될 수 없다. 저렴해서 ’저가탄’이라고도 한다.
- 점결성 매우낮아 스스로 코크스가 되기 힘들다.
- 미점탄도 어떤 석탄과 섞어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좋은 품질의 코크스를 만들 수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