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과학][의학] 아기(영유아)를 울게 하는 것이 애착형성에 나쁜가?

아이를 울게하면 안되나? / 울게하면 어떤 문제가 / 아기의 울음 애착 문제

아기(영유아)를 울게 하는 것이 애착형성에 나쁜가?

결론적으로 많은 책에서 다루는 절대 울게 해선 안된다를 맞다고 이야기할 순 없을 듯 하다. 여기 좀 더 객관적인 시선의 글이 있다. 여기선 이 기사내용을 정리한다. 2022년 글이다.

번역

원본 : Is It OK to Let a Baby “Cry It Out”? | Psychology Today, 2022-05-30

아기의 울음은 아기와 부모 사이의 유일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보호와 보살핌의 양육 행동을 유도합니다. 하지만 울음을 달래지 못하면 부모의 스트레스, 피로, 수면 부족,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부모가 아기의 울음을 관리하기 위해 행동 기술(behavioural techniques)을 사용하며, 여기에는 아기를 “울게”(cry it out) 내버려 두는 다양한 형태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모가 아기를 “울게 내버려 두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자, 임상의사, 부모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논란이 있어 왔습니다: ‘우는 것’(Cry it out)이 아기에게 장기적으로 해를 끼칠까요?

연구 결과를 평가하기 전에 먼저 “울음소리 내기”(crying it out)라는 용어의 의미를 생각해 봅시다.

“우는 것”(Crying it out)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울기”(Crying it out)는 아기를 아기 침대와 같은 안전한 공간에 두고 잠시 혼자 두는 모든 방법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입니다(Blunden, Thompson, & Dawson, 2011; Ramos & Youngclarke, 2006).

이는 학습 이론의 ’소멸’이라는 심리적 개념에 기반합니다. 이 소멸은 ’원치 않는 행동(유아의 울음)들’은 ’보상(부모의 반응)’을 제거함으로써 사라진다 는 뜻이다.

울음 소멸 기법(crying extinction techniques)에는 부모의 반응을 완전히 제거하거나(무수정 소멸, unmodified extinction), 아기가 울 게 내버려 두는 시간을 조금씩 늘려 점진적으로(점진적 소멸, gradual extinction) 제거하는 등 다양한 버전이 있습니다.

아기가 울도록 방에 혼자 두는 것이 불편한 부모를 위해 부모가 아기와 같은 방에 머물면서 아기를 안아주지 않는 ‘캠핑아웃’(camping out)과 같은 다른 버전도 있습니다.

수정되지 않은 소멸 방법(unmodified extinction)은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으며 실행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생후 4개월 이후에는 점진적 소멸이나 캠핑 아웃과 같은 더 가벼운 방법을 사용하는 부모가 많습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기법들은 ‘울음 시간’과 ’밤에 깨는 시간’, 부모의 ‘스트레스’, ‘피로’, ’우울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Hall et al., 2015; Mindell et al., 2006).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우는 것’(crying it out)은 매우 가혹한 육아 방식처럼 들리며, 실행하는 데 스트레스가 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우는 것(crying it out) 의 잠재적 해악에 대한 많은 주장이 제기됩니다. 예를 들면, 불안정한 영유아-부모 애착, 아기의 스트레스 증가, 오래 지속되는 정서적 문제 같은 것들.

이러한 주장은 ’정서적 웰빙’의 발달에 있어 민감한 양육과 ’안전한 영유아 애착’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이론적 관점에서 보면 그럴듯해 보입니다. 그러나 심지어 입증되지 않은 주장들도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보여준 것을 훨씬 뛰어넘어 뇌 손상으로 이어진다(Narvaez, 2011 참고) 고 한다.

‘우는것’(crying it out)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은 이해할 수 있지만, 결론을 내리기 전에 먼저 증거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울음소리”는 안전한 영유아-부모 애착 형성에 해롭나요?

애착 이론에 따르면, 영아의 필요에 대한 부모의 즉각적인 반응은 영아와 부모 간의 양질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유아의 울음은 부모가 유아에게 반응하도록 하는 사회적 행동으로 여겨지고, 따라서 아기와 부모 사이의 안전한 애착의 전조(precursor)로 간주됩니다.

애착 이론의 관점에서는 부모가 아기의 울음을 무시하면 부모와 아기 사이의 안전한 관계 발달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장은 소규모 자연주의 연구(small naturalistic study)에서 최초의 증거가(preliminary support) 를 볼 수 있습니다(Bell & Ainsworth, 1972). 연구자들은 아기의 첫해동안 4분기동안 각 분기마다 방문해서 약 4시간 동안 가정 관찰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아기를 “울게”(cry it out)내버려두면, 울음의 ’빈도’와 ’지속 시간’이 증가하며(Bell & Ainsworth, 1972), ’12개월에 영아-엄마 애착’이 불안정한 것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Ainsworth 등, 1978).

그러나 이 연구 결과는 표본 규모가 26의 가족에 불과하고 부모의 교육 수준 등 다른 변수의 영향에 대한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상관관계에 기반한 단순한 분석 방식이라는 비판을 받았습니다(Gewirtz & Boyd, 1977).

그 후 3개의 복제 연구를 수행됐습니다.

네덜란드 표본에서 50명의 모자(母子)를 대상으로 한 연구(van Ijzendoorn & Hubbard, 2000), 영국 표본에서 178명의 모자(母子)를 대상으로 한 연구(Bilgin & Wolke, 2020), 137명의 모자(母子)를 대상으로 한 캐나다 연구(Giesbrecht et al., 2020)

이러한 연구 중 어느 연구에서도 아기를 “울게”(cry it out) 내버려두는 것과 ‘불안정한 영아-엄마 애착’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아 Ainsworth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주제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전반적으로 거의 없으며, 더 많은 장기적인 변화 과정을 다룬 연구(longitudinal study)가 필요합니다.

“울음소리 내기”가 아기의 스트레스 지수를 높이나요?

영아와 부모의 애착이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아기를 울게 내버려두면 아기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진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이 주장은 병원에 상주하는 수면 훈련 프로그램에서 25명의 산모와 영아의 코르티솔(스트레스 호르몬) 수치를 조사한 Middlemiss(2012) 연구에 근거합니다. 5일 동안 진행된 이 프로그램에서 부모는 아기의 밤중 울음소리에 응답하지 않았습니다.

수면 훈련 프로그램의 첫 3일 동안 유아의 코르티솔 수치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셋째 날에는 어머니의 코르티솔 수치가 감소했습니다. 저자들은 ‘울음소리 내기’(crying it out) 기법에 문제가 있다고 제안했다. 왜냐하면 crying it out 이 아기와 엄마의 코르티솔 수치를 비동기적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발견은 언론에서 잘못 해석되어 ‘울음소리 내기’(crying it out)가 아기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기의 스트레스 수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오히려 엄마의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가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잘못된 해석 외에도 이 연구는 초기 코르티솔 수치를 보고하지 않았고 3일 이후의 결과를 보고하지 않는 등의 한계가 있었습니다.

유아기 이후에도 해로운 결과를 초래한다는 증거가 있나요?

애착 이론(Attachment theory)에 따르면 유아는 양육자와의 초기의 파괴적인 경험을 내면화하며 이러한 경험은 평생 동안 ‘심리사회적 기능’과 ’정서 발달’에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Fearon 외., 2010; Madigan 외., 2016). 따라서 ’우는 것’(crying it out)이 아동의 정서 및 행동 발달에 오래 지속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그럴듯한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우는 것’(crying it out)의 장기적인 결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입니다.

지금까지 유아기 이후의 결과를 조사한 연구는 단 한 건에 불과합니다. 이 무작위 대조군 시험(Price 외, 2012)에서는 유아의 울음에 반응하기 전 대기 시간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것이 울음 시간의 감소와 밤에 깨는 시간의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5년 후 아기의 정서 및 행동 발달과 스트레스 수준(즉, 하루동안의 코르티솔)에 나쁜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이 연구는 아기의 정서 및 행동 발달에 오래 지속되는 영향이 없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 연구에는 실험 그룹(treatment group)에 대한 부모의 높은 거부율과 같은 몇 가지 방법론적 문제가 있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실험 그룹(treatement group)의 부모는 치료(treatement)에 대해 알고 있었습니다(즉, 부모는 실험내용을 알고있었다.(not blinded)). 이는 ‘개입 중 부모의 행동’(parents’ behaviour during the intervention)과 자녀의 ‘정서’ 및 ‘행동’ 문제 측정과 같은 결과 측정에 대한 부모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론

강력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아기를 “울게”(cry it out) 내버려 두면 발생할 수 있는 해로운 결과에 대한 연구는 적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에 몇 가지 방법론적 문제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는 것’(crying it out)가 장기적인 피해(harm)로 이어진다는 주장은 아직 긍정(affirm)하거나 반박(refute)할 수 없습니다.

Reference

  1. Is It OK to Let a Baby “Cry It Out”? | Psychology Today, 2022-05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식][전자] 형광등이 천천히 밝아지는 경우

[상식][it] 스마트폰 액정 유리 스크래치 없애는 방법

[상식] 인천공항에서 서울까지 택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