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과학] 먹는 ’김’에 들어가는 기술
어떻게 김이 오래 가나 / 왜 오래가나 /   먹는 ’김’에 들어가는 기술  현재, 한국의 김은 영하 20~영상 45도 환경에서 6개월 이상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김품종  방사무늬김(재래 김)이 99%인 일본  한국엔 잇바디돌김(곱창 김), 모무늬돌김(일반 김) 등 다양한 김 품종이 있다.   ‘청정원 김’으로 유명한 대상은 김 품종도 개발  수온 변화와 병에 강한 원초 품종을 개발해 이를 키우고 양식 어가에 보급  지구 온난화에 대비해 높은 수온에서도 생산 가능한 품종을 확보  생산한 원초 –> 현지에서 가까운 공장으로 옮긴다. –> 이물질 선별 –> 세척 –> 건조   김 건조   김은 너무 높은 온도에서 말리면 품질이 떨어진다.  너무 낮은 온도에서 건조하면 생산량이 줄어든다.  섭씨 45~50도 사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며 2시간 동안 김을 말린다.  온도와 습도 조절 정도는 김의 품질, 계절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 데이터는 각 회사의 연구 자산   기름, 소금을 발라서 굽는 과정   기름과 소금을 발라 굽는 과정이 김의 품질과 상품성을 결정 한다.  들기름 올리브유 참기름 등 다양한 기름이 쓰인다.  기름 종류에 따라 기름의 배합, 온도, 습도, 염분 정도, 염분 도포 방식, 산도 등 모든 변수를 세밀하게 통제한다.  양반김으로 유명한 동원F&B는 조미김의 유통기한을 늘리고 바삭한 식감을 유지하는 특허를 가지고 있다.  수출용 김은 해당 국가의 기후 등 유통 환경까지 고려해야 한다.  동원F&B 관계자는  “동남아시아로 수출하는 김에는 산패 방지가 더 잘되는 기름을 사용한다”고 했다.  “김 생산 기술 관련 빅데이터는 기업들이 40년 넘게 쌓아온 자산”    방습   김 수출 과정에서 습기를 잡아내는 것도 중요 .  실리카겔 등의 방습제만으로는 안된다.  수분 1% 미만의 조미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초기 공정부터 완성 단계까지 정밀한 미생물 제어 기술을 적용.  포장지  특수필름 : 김이 직사광...